반응형
의존관계 주입이란?
- 런타임 (실행 시점)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되는 것
->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음
IoC 컨테이너, DI 컨테이너
- AppConfig와 같이 객체 생성과 관리를 관리, 의존관계 연결해주는 것
- 의존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춤
스프링 컨테이너
- ApplicationContext
- 기존에는 AppConfig로 생성, 이제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객체 생성 + DI
- @Configuration이 붙은 AppConfig를 설정 정보로 사용
- @Bean이 적힌 메서드는 모두 호출하여 스프링 컨테이너에 반환된 객체 등록 -> 스프링 빈
- applicationContext.getBean()를 통해 검색 가능
반응형
'공부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어플리케이션과 싱글톤 (0) | 2024.05.07 |
---|---|
[JAVA] 예외 처리, Exception 클래스 (Test149~ Test155) (0) | 2022.02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