취준/CS 정리

📌 2.4.1 ARP컴퓨터 간 통신은 정확히 IP 주소에서 `ARP`를 통해 `MAC 주소`를 찾아 MAC 주소 기반으로 통신함 `ARP`: IP 주소로부터 MAC 주소를 구하는 프로토콜`RARP`: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 ARP 주소를 찾는 과정- 장치 A가 ARP 브로드캐스를 보내 특정 IP 주소에 해당하는 MAC 주소를 찾음 (모든 호스트에 전송)- 해당 주소에 맞는 장치 B가 ARP 유니캐스트를 통해 MAC 주소를 반환 (1:1로 전송)-> IP 주소에 맞는 MAC 주소를 찾음 📌 2.4.2 홉바이홉 통신`홉바이홉 통신`: IP 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각각의 라우터에 있는 라우팅 테이블의 IP를 기반으로 패킷을 홉바이홉으로 전달 `라우팅 테이블`- 송신지에서 수신지까지 ..
📌 2.3.1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범위 - 계층별로 처리 범위를 나눌 수 있음- 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 처리 가능, 그 반대는 불가능- L7 스위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데 그 밑의 모든 계층의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음  📌 2.3.2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💡 L7 스위치 (로드밸런서)-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중재-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데이터 전송- 서버의 부하 분산-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요청들을 뒤쪽의 여러 서버로 나누는 역할 수행 (로드밸런서)-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 증가가 목표 - 정기적으로 헬스 체크하여 장애 발생 서버 트래픽 분산 대상에서 제외 L4 스위치와 L7 스위치 차이 - L4 스위치도 로드밸런서 - 인터넷 계층을..
2.2 TCP/IP 4계층 모델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- 프로토콜의 집합- 이를 TCP/IP 4계층 모델로 설명하거나 OSI 7계층 모델로 설명  💡 TCP/I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/ Internet Protocol) 4계층-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집합- 네트워킹 범위에 따라 네 개의 추상화 계층으로 구성 📌 2.2.1 계층 구조OSI 계층- TCP/IP 계층과 달리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세 개로 쪼갬- 링크 계층을 데이터 링크 계층, 물리 계층으로 나눠 표현- 인터넷 계층 = 네트워크 계층 → 계층들은 특정 계층이 변경되었을 때 다른 계층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됨  💡 애플리케이션 계층 (Application layer)- FTP, HTTP,..
📌 2.1 네트워크의 기초네트워크란?노드와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노드: 서버, 라우터,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장치링크: 유선 또는 무선 💡 2.1.1 처리량과 지연 시간좋은 네트워크: 많은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이 짧고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 처리량: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보통 처리한 트래픽의 양을 말함 단위는 bps를 사용 (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)처리량은 트래픽, 대역폭, 하드웨어 스펙에 영향을 받음대역폭: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 지연 시간: 요청이 처리되는 시간,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지연 시간은 매체 타입, 패킷 크기, 라우터의 패킷 처리 시간에 영향을 받음 ..
린구
'취준/CS 정리' 카테고리의 글 목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