💡 Overview `레전드 배달 개발하기!` 💡 진행 및 완료 사항가게 단일 조회 API 구현`ShopException` 커스템 예외 객체 생성가게 검색 API 구현 (문제 발생!) 💡 개발 중 발생한 이슈/해결 방법검색 조회 시 페이지네이션 적용하기 (가게 이름 검색, 메뉴 이름 검색) 💡 오늘 새로 알게 된 내용`UUID`를 `Request` `Response`에 담을 때 `String`으로 변환할 시 장점/단점url 명명 규칙예외의 종류`LIKE` `@Query` 작성법Map 사용하여 현재 컬렉션에 담긴 객체 id 확인하기 ! 💡 Referenceurl 명명 규칙https://recordsoflife.tistory.com/59 💡 Takeawaymap 함수 사용에 익숙해진 것 같아 뿌듯!
취준
1. 문자열 처리 `회문 검사`- 주어진 문자열이 거꾸로 읽어도 같은지 확인하는 문제- `s == s[::-1]` 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뒤집은 후 원래 문자열과 비교def is_palindrome(s): return s == s[::-1]print(is_palindrome("level")) # Trueprint(is_palindrome("hello")) # False `아나그램 검사`- 두 문자열이 같은 문자들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문제- 두 문자열을 sorted()로 정렬한 후 비교def is_anagram(s1, s2): return sorted(s1) == sorted(s2)print(is_anagram("listen", "silent")) # Trueprint(is_anagram..

이제 본격적으로 취업 준비를 해야 한다..맨날 까먹는 파이썬 문법을 정리해보자! 리스트 컴프리헨션- 리스트를 `초기화`하는 방법- 2차원 리스트 초기화 시 매우 효과적 # 0부터 19까지의 수 중에서 홀수만 포함하는 리스트array = [i for i in range(20) if i % 2 == 1]# 1부터 9까지의 수의 제곱 값을 포함하는 리스트array = [i*i for i in range(1,10)]# N * M 크기의 2차원 리스트 초기화n = 3m = 4array = [[0] * m for _ in range(n) ] # [[0,0,0,0],[0,0,0,0], [0,0,0,0]] 리스트 관련 메서드a = [1,4,3]# 리스트에 원소 삽입a.append(2)# 오름차순 정렬a.sort()..
def solution(s): return ''.join(sorted((s), reverse=True)) `sorted()` list로 변환 후 정렬, 따라서 문자열도 정렬 가능함`ord()` 아스키 코드값 반환!!!!
빗물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719
array = input()tmp = 1answer = 0stack = []for i in range(len(array)): if array[i] == "(": stack.append(array[i]) tmp = tmp * 2 elif array[i] == "[": stack.append(array[i]) tmp = tmp * 3 elif array[i] == ")": if not stack or stack[-1] == "[": answer = 0 break if array[i-1] == "(": # 제일 안쪽 괄호인 경우 더해주기 answer = answ..
import itertoolsmaxNum = float('-inf')minNum = float('inf')def cal(numList, operList, result): global maxNum, minNum if not numList: if maxNum result: minNum = result return newNumList = numList[:] oper = operList.pop(0) if oper == "+": result = result + newNumList.pop(0) elif oper == "-": result = result - newNumList.pop(0) ..
def solution(n): answer = n ** 0.5 if int(answer) == answer: return (answer+1) ** 2 else: return -1 `**` 연산자를 사용하면 제곱과 제곱근을 구할 수 있다`** 2`는 제곱을 구할 수 있고`** 0.5`는 제곱근을 구할 수 있다 `int(숫자)`를 사용하여 정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